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아이폰 방해금지모드 알람 오는 이유와 안오게 하는 완벽 설정 가이드

아이폰 방해금지모드를 켰는데도 알람이 울려서 깜짝 놀라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방해금지모드에서 알람이 오는 이유와, 완전히 차단해 알람이 안 울리게 하는 설정법을 단계별로 알려드릴게요.

아이폰
아이폰

방해금지모드인데 왜 알람이 울릴까?

아이폰을 사용하는 분들 중 “분명 방해금지모드인데 아침에 알람이 울렸다”고 당황한 경험이 많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아이폰의 ‘방해금지모드(Do Not Disturb)’는 기본적으로 알람을 차단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에요.
즉, 회의 중이나 자는 동안에는 전화나 메시지는 막지만,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은 그대로 울리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는 애플이 “알람은 의도된 행동”으로 보기 때문에 자동 차단하지 않는 거예요.
하지만 상황에 따라 알람도 완전히 꺼야 할 때가 있죠. 아래에서 그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해드릴게요.


1. 아이폰 방해금지모드의 기본 동작 원리

아이폰의 방해금지모드는 알림, 전화, 메시지, 앱 푸시 등을 일시적으로 차단하지만, 알람(시계 앱 알람)은 예외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알람을 “중요한 일정”으로 등록했다고 보기 때문이죠.
즉, 방해금지모드를 켜더라도 알람은 항상 울립니다.
다만, 다음의 경우에는 알람이 울리지 않습니다.
알람 앱 자체가 꺼져 있을 때 울리지 않음
알람이 ‘반복 없음’으로 설정되고 이미 한 번 울린 경우엔 울리지 않음
시계 앱이 아닌 제3자 앱(예: 카카오알람) 사용할 때, 울릴 수도, 안 울릴 수도 있음
이 기본 구조를 이해하면, 왜 알람이 울리는지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2. 알람이 안 울리게 설정하는 방법

방해금지모드 중에도 알람이 울리지 않게 하려면 ‘집중모드’ 설정을 세밀하게 조정해야 합니다.
아이폰 iOS 15 이상에서는 ‘방해금지모드’가 ‘집중모드’ 안에 포함되어 있으니 아래 단계대로 설정하세요.
단계별 설정법
- 설정 앱 → 집중모드 → 방해금지 선택
- ‘허용된 알림’ 메뉴에서 앱 및 사람 모두 제거
- 아래로 스크롤하여 “시간 기반 활성화”를 꺼둡니다
- 다시 홈 화면으로 돌아가 시계 앱 → 알람으로 이동
- 필요 없는 알람을 비활성화하거나,
- 알람 편집 → “소리 없음”으로 변경합니다
이렇게 하면 방해금지모드 중에는 알람이 울리지 않게 됩니다.
단, 기상 알람까지 완전히 막고 싶다면 “취침 모드”도 함께 꺼줘야 합니다.


3. ‘수면 모드’와의 혼동 주의

많은 분들이 방해금지모드와 수면 모드를 혼동합니다.
하지만 수면 모드는 ‘건강 앱’에서 설정되는 별도의 집중모드입니다.
이 모드는 기상 알람이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방해금지모드를 껐더라도 수면 모드가 켜져 있으면 알람이 울립니다.
확인 방법
설정 → 집중모드 → 수면 → “일정 예약”을 꺼둡니다.
건강 앱 → 수면 → “기상 시간”을 비활성화합니다.
이렇게 하면 수면 모드에 의한 자동 알람도 꺼집니다.


아이폰 방해금지모드

아이폰 방해금지모드는 전화·알림은 차단하지만 알람은 차단하지 않는다. 집중모드(방해금지)에서 앱과 사람을 모두 제거하고,
시계 앱과 건강 앱의 알람을 비활성화하면 완전 무음 가능
즉, 알람이 오는 이유는 설정이 아니라 아이폰의 기본 설계 때문입니다.
하지만 위 단계를 따라 하면, 회의나 중요한 순간에도 완벽히 조용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