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프로필 개편: 2025년 9월 대규모 업데이트로 친구탭이 피드형으로 바뀌고 프로필 게시물 공개범위·댓글·광고 노출 설정이 추가되었다.
카카오톡의 프로필·친구탭 개편
2025년 9월 카카오톡(v25.8.0 기준)의 프로필·친구탭 개편 내용을 기술적·정책적 관점에서 정리하고, 개인 사용자와 서비스 운영자가 알아야 할 실무적 대처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 독자는 카카오톡을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일반 이용자, 개인정보·IT 운영 담당자, 모바일 마케터 및 앱 운영자이며, 공식 발표와 주요 보도를 교차 확인해 사실 중심으로 해석한다.
카카오톡 개편 |
핵심 변경사항과 기능 개요
이번 업데이트의 핵심은 친구탭의 목록형에서 격자형 피드형 UI로 전환된 점이다. 프로필 사진·배경·상태 메시지 변경 내역과 사용자가 올린 게시물이 친구탭에서 타임라인 형태로 노출되며, 메시지 수정(24시간 내), 채팅방 폴더, 보이스톡 AI 요약 등 다수 기능이 동시에 도입되었다. 카카오 측은 프라이버시 보호 장치를 강화해 공개범위(전체/친구/나만 보기), 댓글 허용 여부, 특정 친구 숨김 기능을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업데이트는 9월부터 순차 적용되었다.
개인정보·프라이버시 영향과 설정 방법
피드형 노출은 친밀도가 낮은 연락처에도 프로필 업데이트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가능성을 높인다. 카카오가 제공하는 설정(게시물 공개범위, 프로필 업데이트를 '나만 보기'로 설정, 친구 숨김 등)을 적극 사용해 원하는 노출 범위를 제한해야 한다. 특히 업무용·공식 연락처는 별도 관리(친구 숨김 또는 차단, 별도 계정 사용 권장)하고, 앱 업데이트 직후에는 설정 메뉴에서 기본 공개범위를 확인할 것을 권고한다. 이용자 다수가 자동 업데이트 노출에 당황하며 설정 비활성화 방법을 찾는 사례가 보고되었다.
사용자 반응·광고·비즈니스 영향
대규모 UI 변경은 사용자 체감 변화와 반발을 동시에 불러왔다. 일부 이용자는 친하지 않은 연락처의 게시물 노출과 피드 내 광고 확대에 피로감을 표했다. 플랫폼 관점에서는 체류시간 증가와 광고 슬롯 확대를 통한 매출 전환이 목적이나, 이용자 이탈 리스크와 브랜드 신뢰도 하락을 함께 관리해야 한다. 운영사는 광고 노출 빈도와 개인화 수준의 균형을 맞추고, 투명한 광고 표기 및 명확한 옵트아웃 경로를 제공해야 한다.
개인·기업별 체크리스트
실무적 권고와 체크리스트
개인 이용자: 1) 업데이트 직후 프로필 공개범위 점검, 2) 업무용 연락처 관리, 3) 게시물 자동노출 기본값 변경 권장. 기업/마케터: 1) 광고 크리에이티브와 빈도 재설계, 2) 고객지원 채널에 업데이트 FAQ 마련, 3) 내부 보안·컴플라이언스 팀의 개인정보 영향평가 시행. 공공기관·교육기관은 학생·직원 노출 관리 지침을 별도 배포할 필요가 있다. 이행 로드맵은 즉시 확인·설정, 단기(1주) 모니터링, 중기(1~3개월) 사용자 피드백 반영 순으로 권장한다.
핵심 요약과 향후 관전 포인트
카카오톡 9월 프로필 개편은 메신저에서 소셜 피드형 플랫폼으로의 확장이라는 전략적 전환을 의미한다. 이용자는 프라이버시 설정을 즉시 점검하고, 기업은 광고·운영 전략을 재검토해야 한다. 향후 관전 포인트는 실제 광고 수익 영향, 사용자 이탈률 변화, 카카오의 추가 프라이버시 보완 조치 시행 여부다. 공식 문서와 앱 내 공지를 수시로 확인해 설정을 최적화하길 권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